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가 게시한 온라인 공공게시물 1,000개를 분석한 결과, 한글 맞춤법 변화사 속에서도 여전히 반복되는 오류가 무엇인지 밝혀졌다. 가장 많이 틀린 맞춤법의 유형과 그 사회언어학적 의미를 분석한다.” 목차한글 맞춤법 변화사와 공공언어의 관계공공게시물 1,000개 분석으로 본 주요 맞춤법 오류 TOP 10한글 맞춤법 변화사 속에서 반복되는 공공언어의 문제공공문서의 미래, 한글 맞춤법 변화사가 제시하는 방향 1. 한글 맞춤법 변화사와 공공언어의 관계 한글 맞춤법 변화사는 단순히 글쓰기 규칙의 변천사가 아니라, 사회의 언어의식과 행정문화의 변화까지 함께 담고 있는 언어사적 기록이다. 한글이 창제된 이래로 공공기관은 언제나 언어 표준화의 중심이었다. 그러나 최근 조사 결과는 놀라운 사실을..